-
이건 기본! 짧고 굵게 외워보자 : 마케팅 실무 필수 용어(약어)배움의 고통 2022. 6. 26. 20:58
CAC / LTV / ARPPU / ROI 등등등...
마케팅 실무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어들입니다.
솔직히 저도 주로 사용하는 것들만 익숙하지, 잘 쓰지 않는 약어들은 생소합니다.
그리고 죄다 비슷하게 생겨먹어서...갑분싸 복세편살 좋못사 <- 이딴건 잘만 외워지는데....휴
사실 이런 지표들의 본래 개념은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었지만 알파벳 약어로 쓰이는 게 보편화되면서 조금은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도 같습니다. 억지로 외운다기보다는 실무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외워집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누군가 "로아스 얼마 나왔어요?" 라고 물었을 때 "에??? ㅇ_ㅇ??" 하지 않으려면 사전에 어렴풋이나마 개념이라도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제 얘기임..)약어 의미 비고 PMF Product Market Fit
제품시장적합성이 제품이 정말 시장(고객)에게 필요한 것인가? LTV Life Time Value
고객생애가치CLV, CLTV와도 같은 개념이다. 앞에 C는 Coustomer를 의미.
1명의 고객이 우리 제품을 생애 전반에 걸쳐 얼마(가격)까지 이익을 가져다 줄 지 예측하는 지표이다. 제품의 카테고리와 환경에 따라 LTV 계산식은 매우 다양하다. 가장 간단한 계산식은 고객의 평균 구매 단가 × 평균 구매 횟수 이나....무조건 정답은 아니다!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획득 비용풀이 그대로 1명의 고객을 우리 제품(서비스)으로 획득하는 비용. 여기서 '획득'이란 지표에 따라 달라진다. '가입'이 될 수도 있고, '결제'가 될 수도 있다. 계산식은 특정 프로젝트에 사용된 마케팅 비용/해당 프로젝트로 획득된 고객수 이다.
예를 들면, 3천만원 짜리 구매 유도 이벤트에 100명이 구매했다면, CAC는 30만원이다. (비싸다....)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수익률마케팅업계에 한정되어 있기보다 경영/경제 지표로 더 많이 쓰인다. 계산식은 (매출액-비용)/투자금*100
여기서 비용의 범위는 기업마다 다르게 설정한다.
인건비까지 모조리 넣어 정말 "순이익"을 가지로 ROI를 볼 것인지, 광고/마케팅비용만 책정할 것인지...
ROI는 다른 약어에 비해 나름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것 같다. 대충 뭉뚱그려서 "효율이 안난다"를 말하고 싶을 때 "ROI가 구리다"라고 표현하기도.ROAS Return On Ad Spending
광고대비수익률말 그대로 지출한 광고비 대비 얼만큼 수익을 냈는지를 뜻한다.
계산식은 매출액/광고비*100
앞서 언급된 ROI보다 명확하다. 퍼포먼스마케팅에서 필수지표로 쓰인다. ('로아스'라고 읽는다.)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유료고객당 평균 결제 금액과금 액션이 있는 앱 서비스에서 사용되었던 지표. 현재는 흔히들 말하는 쇼핑몰(이커머스)에서도 사용된다. 유료(=과금, 결제)고객의 평균 결제 금액을 뜻하며, 어느정도 로열티가 보장된 고객들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충성고객 대상 마케팅 진행 시 지표로 활용된다.
계산식은 총 결제금액/유니크한 유료고객수. '알피피유'라고 읽는다.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객당 평균 결제 금액'객단가'라는 용어가 더 익숙하다. 단순 총 고객을 기준으로 하는 지표이며, 계산식은 총 결제금액/총 고객수. '알푸'라고 읽는다. UV Unique Visitor
순방문자수웹로그 분석 시 무조건 나오는 약어. 특정 기간의 방문한 고객의 유니크한 값이다. '방문자수'와 완전 다르다. 동기간으로 가정했을 때, 방문자수는 A고객이 10번 방문하면 방문자수가 10으로 찍히지만 UV는 1로 찍힌다. DAU Daily Active Users
일별 활동 사용자수위의 UV가 웹기반 서비스에 더 적합하다면 DAU는 앱기반 서비스에 적합하다. 하루동안 앱을 사용한 사용자수를 뜻한다. 매일 들여다봐야하는 다마고치st 게임이나 메신저같은 앱은 DAU가 높다. MAU Monthly Active Users
월별 활동 사용자수월별 순방문자와 유사한 개념. 앱기반 서비스에선 이 MAU(+DAU)가 곧 기업가치가 되기도 한다. AARRR Acquisition - Activation - Retention -
Revenue - Referral
해적지표획득-활성화-유지-매출-바이럴 의 다섯단계 퍼널.
당연한 개념인데 AARRR이라고 하면 괜히 어렵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어떻게 데려올 것인가-그 이후 어떻게 활성화 시킬 것인가-이 고객들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할 것인가-어떻게 결제까지 하게 만들 것인가-고객들이 서비스에 감동받아 어떻게 다른사람들에게 자발적으로 추천(바이럴)하게 할 것인가. 의 순서다. 가끔 마지막 매출과 바이럴은 순서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CTA Call To Action
액션을 부르는 장치사용자의 행동을 부르는 장치이다. 버튼이 될 수도 있고, 배너가 될 수도 있다. 주로 버튼에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예를 들어, [가입하기]가 쓰인 버튼은 구매를 유도하는 CTA인 셈이다. 이 버튼의 위치, 컬러, 카피에 따라 사용자의 반응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CTA에 대한 A/B Test가 이루어진다. ([가입하기]버튼과 [가입하고 쿠폰받기]버튼) CPC Cost per click
클릭 당 비용광고비 계산에서 쓰이는 지표.
광고 클릭 당 책정되는 비용으로 당연히 낮을수록 좋다.CPS Cost Per Sale
구매 당 비용광고를 통해 구매까지 이루어졌을 때 광고비 발생하는 가격책정 방식. CTR Click-Through Rate
클릭율반응률, 클릭율, 전환율로도 이해된다.
문자, 앱푸시 등에 자주 쓰이는 지표.
계산식은 클릭수/노출수*100CPM CPM = Cost per mille
1,000번 노출 당 비용화면에 1,000번 노출될 때마다 과금되는 가격 책정방식으로 사용자가 반응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단순 "노출"로만 계산한다.
무조건 많이 보여져서 고객 인지효과를 노리는 경우에 쓰인다.YoY Year on Year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마케팅 용어는 아니지만 보고서 작성 시 주로 쓰여서..넣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매출 또는 방문자 등이 얼마나 늘었는지.
계산식은 (올해 매출-전년 동기 매출)/전년 동기 매출*100WoW Week on Week
전주 대비 증감율계산식은 (금주 매출-전주 매출)/전주 매출*100 '배움의 고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 1도 몰르겠습니다 : 노션으로 포트폴리오 만들기 (0) 2022.08.22 카피라이팅 추천 도서 : 문장 수집 생활 (0) 2022.06.27 로직고민NO 개발없이 심리테스트 만들기 : 마케터에게 추천! 도다툴 (0) 2022.06.14 구글애널리틱스(GA) 독학 : 종료율과 이탈률의 미묘한 차이 (1) 2022.06.14 애드센스 승인 완료 : 예상 수익 알아보기 & 5분만에 광고 셋팅하는 방법 (0) 2022.06.09